■ 진행 : 나경철 앵커, 유다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주 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굿모닝와이티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경제 소식을 빠르고 친절하게 전달해 드립니다. 오늘 굿모닝경제는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과 함께합니다. 어서 오세요. 우리나라 무역수지 적자가 15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. 역시 반도체 부진이 큰 영향을 미쳤다, 이렇게 봐도 되는 걸까요? <br /> <br />[주원] <br />5월까지 올해 총 누계 무역적자가 273억 불이거든요. 그러니까 작년 1월에서 5월, 같은 기간의 무역적자가 85억 불이니까 엄청나게 커진 거죠. 가장 큰 이유는 역시 반도체 말씀하셨는데 수출도 물론 중요한 원인이기는 하지만 수입액이 여전히 큽니다. 에너지 가격이 많이 떨어졌지만 수입 쪽에서 적자 요인이 많이 발생했고. <br /> <br />그리고 수입 쪽에서 적자가 많이 발생했더라도 우리 주력 산업 수출이 잘되면 수출이 많아지니까 무역수지가 흑자로 돌아서야 되는데 그렇지 못한 상황. 그러니까 반도체 가격 같은 게 최근에 보면 한 1년 전 대비 40% 수준밖에 안 돼요, 가격 자체가. <br /> <br />물량은 그렇게 많이 감소하지는 않았는데 그런 부분을 생각해 보면 우리 주력 수출이 잘 안 되고 수입액은 여전히 높고 이러다 보니까 무역적자가 지금 작년 10월부터 올해 5월까지 계속 연속으로 적자를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앞서 그래픽도 나왔었는데 무역수지 적자 폭은 줄어들고 있더라고요. 그런데 이게 수출 영향이 아니고 수입이 줄어든 영향이잖아요. 이렇게 되면 불황형 흑자가 되는 것 아닌가요? <br /> <br />[주원] <br />그렇죠. 올해만 놓고 보면 1월달에 무역수지 적자 폭이 가장 컸고요. 그게 한 125억 불. 그게 점점 줄어서 이제 21억불까지, 올해 5월달에는 줄었는데 아마 이런 분위기면 무역수지는 조만간 흑자로 반전될 것 같아요. <br /> <br />반전되는데 5월달만 놓고 보더라도 수입 증가율 감소하는 게 더 컸기 때문에 그런 부분이 고려가 됐고. 그렇다면 수출은 안 되는데 무역수지는 흑자를 기록하는, 말씀하셨던 좀 이상한 거죠.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닌 것 같은 그런 상황이 하반기에는 아마 펼쳐질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니까 계속해서 반도체가 힘을 못 쓰고 있는 그런 상황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60207375130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